- 일,공휴일 휴진 - 토요일은 점심시간 없이 진료합니다.
평발만 나쁘다? 발 아치 높은 '요족'도 관리해야
발은 우리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정상적인 보행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기관이다. 신체 체중 부하 대부분을 감당하면서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발은 일정한 아치 구조를 띠고 있는 것이 정상이다. 그런데 발의 아치가 너무 낮은 평발 환자들은 발이 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조금만 오래 걸어도 금세 통증을 호소하곤 한다.
이와 반대로, 아치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문제가 된다. 이를 '오목발' 또는 '요족'이라고 하는데, 발의 아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탓에 체중이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특정 부위에 부담이 가중되는 상태다. 그래서 보행을 할 때마다 발과 발목, 무릎, 허리까지 통증과 불편감이 느껴진다고 호소하기 쉬운데, 평발에 비해 비교적 덜 알려져 있기에 스스로 요족임을 모르는 경우도 있다. 요족의 특징은 무엇인지, 어떻게 교정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높은 발 아치, 발뿐만 아니라 전신에 영향 미칠 수도
요족은 발의 아치가 과도하게 높아진 상태로, 정상적인 발에 비해 지면과 닿는 면적이 좁다는 것이 특징이다. 선천적으로 발 아치가 높은 경우도 있지만 후천적인 원인이 작용하는 경우가 더욱 흔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샤르코-마리 투스병(charcot-marie-tooth)이나 소아마비 후유증 등 신경근육성 질환 때문에 요족이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발 골절 이후 뼈가 잘못 붙은 경우에도 요족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오랜 기간 불편한 신발을 신어 발에 무리를 준 탓에 요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요족이 진행되면 발바닥이 지면과 닿는 면적이 줄어들면서 보행 시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지고, 발목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바닥의 아치는 걸을 때 충격을 흡수하고 체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하는데, 요족이 있는 경우 체중이 앞쪽 발가락과 뒤꿈치에 집중되는 편이다. 이로 인해 걸을 때 균형을 유지하기 어려워 발목을 자주 삐고, 발바닥에 통증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발목 염좌가 자주 발생하는 탓에 발목 관절염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낙상의 위험도 높은 편이다. 또한 걸을 때 지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발바닥에 족저근막염 등의 질환도 쉽게 찾아오며, 자세 전반이 무너지며 종아리와 허리 등 전신에까지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게다가 체중이 발 앞쪽으로 집중되면서 발가락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는 탓에, 발가락이 구부러지는 '갈퀴족지'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렇게 요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과 질환이 많은 데에 반해, 스스로 요족이라는 사실 자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편이다. 오히려 발목 불안정성이나 족저근막염 등 다른 질환의 원인을 찾다가 자신의 발이 요족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경우도 많고, 서서히 발의 변형이 진행된 후 뒤늦게 요족으로 진단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증상 없을 때 깔창 등으로 치료해야…통증 심하면 수술 필요해
요족이 있는 경우 진행 정도에 따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통증이 거의 없고 변형이 심하지 않은 초기 단계라면 발에 편한 신발을 신고, 깔창이나 교정기 등을 착용하는 등 보존적 치료로도 충분히 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깔창을 사용하면 발에 가해지는 체중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고, 보행 안정성도 높일 수 있는 데다 발의 교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자신의 발에 맞는 적절한 깔창을 사용할 것을 권한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하걸 원장(하하호호마취통증의학과의원)은 "교정을 위해 깔창을 사용한다면 양쪽 발 모두 깔창을 착용해야 한다"라며 "깔창 사용으로 아치 높이가 달라지면 골반 높이에도 영향을 주고, 전반적인 자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조언했다.
만약 통증이 있거나 이미 변형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라면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정형외과 전문의 최경진 원장(최경진정형외과의원)은 "통증이 있는데도 계속 발을 사용하다 보면 염증이 생기고 발이 계속해서 부어오를 수밖에 없다"라며 "염증 탓에 통증이 더욱 악화되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는 만큼 가급적 걷지 않고 냉찜질을 자주 하고, 꾸준히 전문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원인이나 통증의 정도에 따라서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발등의 아치까지 함께 과도하게 높아져 있는 경우라면 절골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고, 단축된 족저근막을 절제하는 수술을 해야 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증상이나 원인에 따라 각기 다른 치료 방법을 시행하기도 하는 만큼, 요족이 진행되면서 불편을 가져온다면 빠르게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